암나사 평면 표기시에 제도, 나사 전반 제도 도시 방법
- 기계 설계 산업기사 & 기능사/기계도면해독
- 2016. 6. 14. 01:38
출처 : http://cad2012.tistory.com/entry/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-연습도면-풀이시험에-나오는것만-공부하자
원작자의 CCL 정책에 의거하여 퍼갑니다. 문제가 있을 시 알려주시면(댓글, 방명록 등)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.
나사의 제도법 |
① 수나사 제도 |
|
② 암나사 제도 |
|
①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을 나타내는 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②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을 표시하는 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③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④불완전 나사부의 골 밑을 나타내는 선은 축선에 대하여 30˚의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⑤암나사 탭 구멍의 드릴 자리는 120˚의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⑥가려서 보이지 않는 나사부의 산봉우리와 골을 나타내는 선은 같은 굵기의 파선으로 한다. ⑦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부분은 수나사로 표시한다. ⑧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 도시에서 각각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약 3/4만큼 그린다. ⑨단면시 나사부의 해칭은 수나사는 바깥지름, 암나사는 안지름까지 해칭한다. |
※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1. 다음은 나사의 제도법에 대한 설명이다. 틀린 것은? ① 암나사의 골을 표시하는 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② 수사나의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③ 암나사 탭 구멍의 드릴 자리는 120˚의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④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2.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를 표시하는 선은? ① 가는 1점 쇄선 ② 가는 2점 쇄선 ③ 굵은 실선 ④ 숨은선 3. 그림에서 암나사의 구멍을 도시한 것으로 맞는 것은? ① ② ③
④ 4. 다음 나사의 표시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? ① 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 부분은 수나사로 표시한다. ② 수나사나 암나나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③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④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5. 다음은 나사의 제도법에 대한 설명이다. 틀린 것은? ① 암나사의 골을 표시하는 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② 수나사의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③ 수나사의 측면도시에서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④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6. 다음 중 나사의 도시법 중 옳지 않은 사항은? ①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②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③ 수나사의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④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시에서 골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7. 다음 나사의 도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①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을 나타내는 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②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을 표시하는 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③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④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시에서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 8. 다음 나사의 도시법 중 잘못 설명한 것은? ①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을 표시하는 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②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③ 암나사 탭 구멍의 드릴자리는 120˚의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 ④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시에서 각각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약3/4 원으로 그린다. 9. 다음 중 나사 간략 도시 방법에서 골을 표시하는 선의 종류는? ① 굵은 실선 ② 굵은 일점 쇄선 ③ 가는 실선 ④ 가는 일점 쇄선 10. 나사 제도시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지름을 표시하는 선은? ① 굵은 실선 ② 가는 1점 쇄선 ③ 가는 실선 ④ 가는 2점 쇄선 11. 다음은 볼트를 제도 한 것이다. 바르게 나타낸 것은? ①
②
③ ④
|
'기계 설계 산업기사 & 기능사 > 기계도면해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사 기호 및 규격 (2) | 2016.07.08 |
---|---|
[공부책] 2D 3D AutoCAD 기계설계제도 (0) | 2016.01.26 |
등각투상(Isometric), 이각투상(Dimetric), 삼각투상(Trimetric)에 대한 간단한 이해 (2) | 2015.10.04 |
이 글을 공유하기